나의 조국은 대한민국.

나의 주식의 조국은 아메리카(?)  ㅋㅋㅋㅋㅋ

 

곧 있으면 상장하는 크래프톤.....

고민을 진짜 많이해봤는데,,, 일단 지르는게 맞는거 같기에 도전해 본다 ! 

저의 분석을 기반으로 투자해보겠습니다. 

(솔직히 주린이 입니다. 조언도 부탁드려요..)

 



Q1. 자산이 엔씨,넷마블보다 적은디 너무 고평가 아닌가?

- 현금으로 활용가능한 유동자산의 경우 엔씨가 2조, 넷마블이 1조, 크래프톤은 2조 입니다. 

(넷마블은 창투사로 전향 하는게 좋을듯...본업에 충실하지 못함)

- 인수합병 등의 호재를 만들어내기 좋다고 판단했습니다.

 

Q2. 영업이익이 일시적? 

- 엔씨, 넷마블, 펄어비스도 같은 코로나를 겪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이라 판단했습니다.

- 코로나가 장기화되는 조짐이 보이기 때문에 게임을 더 많이하지 않을까???

- 참고로 영업이익의 80% 이상이 모바일 매출입니다. 영업이익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다른 대형게임사보다 성장성이 좋습니다.

 

Q3. 배그 원툴아님?

- 엔씨도 리니지 원툴, 펄어비스도 X은사막 원툴이라 판단했습니다. 같은 주제로 아류작 내면서 잘 하고 있네요.

- 배그도 배그 뉴스테이트 나옵니다. ㅎㅎ.. 아무튼 든든따리.

- 넷마블은 투자..원툴?

 

Q4. 다른 장점 있음?

- 시장 확장성, 지금 코로나로 지연되고 있긴 한데 앞으로 중국 다음 가장 큰 시장인 인도 진출 합니다. 개 봉 박 두.

- 다양한 분야 투자 시도 중( ex) 여러회사 인수 및 메타 버스 등... ), 전 좋게 봅니다.

- 유료화 아이템이 사행성이 아님. 정치권 리스크 없음. 이거 좋아. (도이치 모터스 ***...)

- 중국의 경우 한한령으로 인해 텐센트를 통해서 유통하고 있는데, 직접 유통은 안되려나...ㅠㅡ (어쨌든 악재는 반영되고, 좋은 일만 남음)

 

[그 외 이유]

- 본업 충실하지 못한 넷마블 빼고는 나머지 회사는 공모가보다 훨씬 성장해 있습니다. 

  (크래프톤은 제가 볼 때 지금이 적정가 또는 적정가보다 살짝 위지만 앞으로 더 성장 여력이 있다 봅니다)

- 하는 짓이 많아 처음에 물려도 언젠간 나갈 자리는 줄 것 같습니다.

- 게임 회사는 사기 입니다. 돈이 매우많고 IT 끝판왕 급이라서 사업 확장성도 좋습니다. 끝.

 

회사 월급으로는 서울에 아파트 한채 살수없는 현실에 다시한번 통감하며 

안정적인 주식으로 돈을 벌어보자 !!! 

 

목명 PER PBR 배당수익률
JB금융지주 4.08 0.38 5.17
DB금융투자 3 0.37 4.3
BNK금융지주 5.06 0.28 4.22
DGB금융지주 4.73 0.31 4.32
한국전력 8.08 0.23 4.85
기업은행 5.29 0.33 4.51
교보증권 4.14 0.44 5.2
동양생명 6.58 0.28 4.05
E1 5.41 0.33 3.9
화성산업 4.94 0.43 4.8
서울가스 4.12 0.67 12.05
대덕 2.38 0.47 3.7
현대차증권 4.8 0.48 5.13
하나금융지주 4.94 0.43 4.22
성도이엔지 1.11 0.45 2.98
리드코프 5.42 0.62 8.3
부국증권 3.64 0.59 4.86
삼정펄프 3.23 0.41 2.88
신한지주 5.82 0.47 3.87
우리금융지주 6.52 0.36 3.17
코리안리 7.68 0.47 4.68
한양증권 4.54 0.61 4.62
현대해상 6.45 0.47 3.92
이베스트투자증권 3.51 0.77 6.49
경동도시가스 7.58 0.4 3.58
SK가스 3.89 0.56 3.46
KPX케미칼 4.95 0.61 4.17
삼천리 10.02 0.29 3.24
NH투자증권 6.58 0.66 5.53
KB금융 5.96 0.51 3.37
한솔제지 6.44 0.6 4.36
동부건설 7.17 0.71 6.36
한국자산신탁 4.38 0.75 4.73
메리츠증권 5.63 0.79 6.57
동아타이어 12.82 0.47 6.43
유진투자증권 5.43 0.48 2.77
DB손해보험 6.11 0.62 3.93
한국토지신탁 6.26 0.63 3.95
디티알오토모티브 7.66 0.65 4.91
삼성카드 9.5 0.58 5.07
조선내화 8.68 0.59 4.64
삼성생명 10.97 0.37 3.23
미래에셋생명 8.57 0.36 2.42
동원개발 4.11 0.66 2.83
삼성증권 7.8 0.74 4.96
메가스터디 8.48 0.64 3.96
대동전자 14.34 0.55 6.81
유진기업 8.14 0.54 3.02
대신증권 8.94 0.8 6.33
미창석유 6.55 0.53 2.47
HDC 6.96 0.35 1.92
태영건설 1.33 0.8 2.56
KCC글라스 4.45 0.79 3.2
대한제당 12.36 0.65 5.54
SK디스커버리 3.83 0.53 1.99
인천도시가스 10.5 0.66 4.31
메리츠화재 5.71 0.99 5.82
롯데푸드 5.88 0.68 2.64
메리츠금융지주 6.12 0.88 4.09
금화피에스시 6.93 0.81 3.72
동양이엔피 5.8 0.59 2.23
KT 12.31 0.62 4.08
서원인텍 8.52 0.83 4.56
한국앤컴퍼니 10.17 0.52 2.66
인포바인 7.58 0.83 3.86
현대홈쇼핑 8.79 0.58 2.55
세아제강 9.18 0.51 2.33
한신공영 2.77 0.48 1.58
아세아 5.75 0.35 1.57
현대코퍼레이션 5.04 0.85 2.99
이라이콤 15.81 0.62 5.58
광주신세계 7.08 0.44 1.82
대성에너지 13.27 0.6 3.67
푸른저축은행 8.31 0.82 3.63
계룡건설 3.2 0.57 1.7
삼성화재 12.47 0.69 3.97
삼호개발 7.98 0.76 2.97
원림 3.6 0.61 1.78
유안타증권 9.04 0.69 2.77
지투알 12.03 0.77 4.47
세보엠이씨 11.4 0.54 2.53
KCC 4.44 0.59 1.76
에스텍 8.35 0.84 3.31
코오롱 2.87 0.59 1.6
한양이엔지 6.34 0.86 2.85
휴비스 4.77 0.87 2.52
동원산업 3.64 0.75 1.96
스카이라이프 9.73 0.76 2.99
삼양통상 4.32 0.6 1.65
인지디스플레 8.92 0.82 3
부산가스 3.17 0.72 1.76
창해에탄올 8.39 1 4.2
KCC건설 5.92 0.57 1.68
경동인베스트 5.92 0.23 1.22
삼영무역 10.25 0.8 3.05
SGC이테크건설 1.24 1 2.15
지역난방공사 18.71 0.27 2.26
대창단조 8.69 0.66 2.06
국순당 7.13 0.68 1.9
한화 10.81 0.66 2.29
영풍 8.79 0.38 1.47

 

 

 

<2021.06.28 오늘의 상한가 이야기>
안녕하세요. 주식초보 ANTKONG입니다.


정규장과 시간외 상한가 간 종목들을 알아보고
어떠한 테마와 이슈가 있었는지 같이 알아보려 합니다.
오늘 정규장에서는 7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시간외에는 2개 종목이 상한가로 마쳤습니다.


*정규장 상한가 종목
휴맥스홀딩스 - 전자장비 개발 시스템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
6,200원 종가, 시간외 6,200원 마감
휴맥스홀딩스는 홍준표 의원 테마주로 언급되는데, 휴맥스의
변대규 대표가 홍준표 의원과 경남 고향 선후배, 영남고 선후배
사이라는 소식에 관련 테마주로 묶인 것 같습니다. 또한 최근
국민의 힘 복당에 기대감이 더해지며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피에이치씨 - 바이오사업, 유통사업, 임대사업 등 영위
1,955원 종가, 시간외 1,955원 마감
피에이치씨는 관계사인 필로시스가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중화항체 키트의 수출용허가를 받았다는 소식에 수혜주로
언급되며 기대감에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아이진 - 신약 연구 개발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업
39,750원 종가, 시간외 39,750원 마감
아이진은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에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며칠전 손절했는데...... ㅠ.ㅠ) 


솔고바이오 - 생체용금속, 수술기구, 헬스케어 제품 제조, 판매
1,675원 종가, 시간외 1,675원 마감
솔고바이오는 최근 5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발생 등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해 작년 2월 이후 거래가
정지되었는데, 솔고바이오에 대한 상장유지 결정에 기대감이
더해져 4거래일연속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최근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되어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플랜티넷 - 유해콘텐츠 차단서비스 사업 영위
13,750원 종가, 시간외 13,400원 마감
플랜티넷은 이재명 경기도 지사의 일자리 정책 롼련주로 언급
되는데, 과거 이재명 지사의 성남시장 시절 청년 창업 육성과
관련한 업무협약에 자회사가 참여한 이력이 있어 수혜주로
언급되며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엔텔스 - 유무선 통신사업자를 위한 시스템 개발, 공급 영위
11,100원 종가, 시간외 11,100원 마감
엔텔스는 이재명 경기도 지사가 메타버스 활용해 청년들과
소통했다고 알려지며, 관련 수혜주로 언급되며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아진엑스텍 - 반도체 장비 및 스마트폰 검사 장비 제조 영위
11,500원 종가, 시간외 11,500원 마감
아진엑스텍은 메타버스르 산업 현장 활용이 본격화 되면서
개발 중인 스마트팩토리용 XR글라스가 주목받으며 적정주가
상승에 기대감이 더해지며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2021.06.25 오늘의 상한가 이야기>
안녕하세요. AntKong 입니다.


정규장과 시간외 상한가 간 종목들을 알아보고
어떠한 테마와 이슈가 있었는지 같이 알아보려 합니다.
오늘 정규장에서는 4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시간외에도 4개 종목이 상한가로 마쳤습니다.


*정규장 상한가 종목
LS네트웍스 - 신발, 의류, 등산과 운동경기 제품 제조, 판매
4,770원 종가, 시간외 4,770원 마감
LS네트웍스는 이재명 경기도 지사 관련 테마주로 언급되는데,
아직 확실한 테마로 묶이는 이유는 나오지 않은 것 같습니다.

 

솔고바이오 - 생체용금속, 수술기구, 헬스케어 제품 제조, 판매
1,290원 종가, 시간외 1,290원 마감
솔고바이오는 최근 5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발생 등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해 작년 2월 이후 거래가 정지되었는데,
솔고바이오에 대한 상장유지 결정에 기대감이 더해져 3거래일연속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아모센스 - 여러 모듈 및 IoT 디바이스 등 소재부품 사업영위
15,900원 종가, 시간외 15,900원 마감
아모센스는 오늘 신규상장한 회사로 무선충전 자폐 시트 개발에
기대감이 더해지며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네오오토 - 자동차부품 중 기어류 제조를 영위
12,950원 종가, 시간외 12,700원 마감
네오오토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 관련주로 언급되는데, 네오오토의
김선현씨가 윤 전 총장 아버지 윤기중 교수가 상임이사로 활동하는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의 자매격인 매헌윤봉길원진회에서
상임이사로 활동하고 있어 관련주로 묶인 것 같습니다.

 


*시간외 상한가 종목
JW중외제약2우B - 의약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 영위
80,000원 종가, 시간외 88,000원 마감
JW중외제약2우B는 다국적 제약사 로슈의 자회사 제넨테크가
개발한 의약품인 악템라가 미국 FDA로 부터 코로나19 치료제로
사용가능하다는 소식에 약렘탐에 대해 국내 독점 개발과 판권을
갖고 있는 JW중외제약 소식에 수혜주로 언급되며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JW중외제약우 - 의약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 영위
55,600원 종가, 시간외 61,100원 마감
JW중외제약우는 JW중외제약2우B와 같은 이유로 시간외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바이오리더스 -면역치료 바이오신약 개발 사업 영위
7,390원 종가, 시간외 8,120원 마감
바이오리더스는 별다른 뉴스나 공시는 없지만 최근 뉴스에서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참형하는 공동 개발 협약을 지난 16일날 체결해, 이에 기대감이
더해지며 시간외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아시아경제 - 광고사업, 콘텐츠 사업 등 영위
5,180원 종가, 시간외 5,690원 마감
아시아경제는 별다른 뉴스나 공시없이 시간외 상한가로 거래를
마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메타버스 관련 정보공유 이후 VR/AR 관련 기술동향 공유 드립니다.

 

메타버스와 연관있으니 앞서 올린 메타버스 관련 정보자료 보시고 오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이번 기술동향 정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운영하는 ITFIND 사이트에 업로드 된 주간기술동향 시리즈입니다.

VR/AR 관련 시리즈로 나왔기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자료 확인하시고 좋은 인사이트 가지시길 바랍니다.

 

1. VR/AR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최신 기술 동향

   - 사이트 바로가기 : 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list.do?selectedId=1185

   - 자료 바로보기 : 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view.do?boardParam1=8157&boardParam2=8157

 

본 고에서는 VR, AR의 하드웨어와 인터페이스에 관한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하드웨어에 관해서는, 퀄컴에서 발표한 온보드 동시처리 기능을 갖춘 유선 AR 스마트 뷰어 레퍼런스 디자인과 안경 쓰는 사람들을 위한 오큘러스 퀘스트2용 처방 삽입 렌즈 기술 및 파나소닉의 새로운 모습의 컴팩트 VR 안경에 대해 살펴본다. 인터페이스 관련 최신 기술로는, 입력과 햅틱을 위한 손목 착용 디바이스, 골전도 타이핑 손목밴드, 텔레프레전스를 제공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페이스북에서 발표한 VR, AR 입력과 햅틱을 위한 손목 착용 디바이스 기술과 골전도 기술을 이용한 VR 타이핑 손목밴드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VR 및 모션 컨트롤러로 텔레프레전스를 제공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Reachy에 대해 살펴본다.

 

    - 주요 업체 : 퀄컴, 페이스북

 

2. 착용형 가상/증강 기기를 위한 박형화 광학 기술 동향

    - 사이트 바로가기 : 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list.do?selectedId=1184

    - 자료 바로보기 : 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view.do?boardParam1=8153&boardParam2=8153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은 시각 등을 통하여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속에 실존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기술을 통칭하며, 차세대 컴퓨팅 플랫폼 중 하나로서 향후 ICT 시장을 혁신할 수 있는 핵심 분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착용형 가상ㆍ증강 기기를 위한 핵심 부품 기술 중 영상 제공을 위한 박형의 광학 소자 기술에 대한 기본 원리 및 연구 동향을 살펴보려 한다. 특히, 최근 연구 결과가 활발히 발표되고 있는 박형 가상현실 기기를 위한 편광 기반 광경로 폴딩 기술 및 렌즈-어레이 기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살펴보고, 아울러 증강 현실 기기를 위한 투시형 광학 소자로서 Waveguide 기술 및 홀로그래픽 렌즈 기술 등을 살펴봄으로써, 동 산업 분야의 최근 광학 기술 동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주요업체 : 페이스북,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부직스(vuzix), 보쉬(Bosch)

 

3. 교육 분야에서의 가상/증강현실 적용 동향

    - 사이트 바로가기 : 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list.do?selectedId=1183

    - 자료 바로보기 : 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view.do?boardParam1=8149&boardParam2=8149

 

지난 이십여 년간 컴퓨터를 포함한 디지털 기기에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성능 면에서 가파른 성장을 보여 왔다. 이러한 성장으로 인해 과학ㆍ기술 분야뿐 아니라 사회의 전반적인 분야들은 컴퓨터 기술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디지털 영상기기의 개발은 인간이 어떤 현상을 관찰한 후 인지, 이해, 분석, 추론하는 것을 대체 및 보완해 주고 있다. 특히, 초기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술의 주요 응용 분야가 게임, 오락, 문화 콘텐츠였다면, 최근에는 의료, 교육, 제조업, 국방 분야 등 사회 전반의 전문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술의 교육 분야(초ㆍ중ㆍ고등학교, 대학교, 직무교육, 평생교육) 적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교육 현장에서 원격 및 비대면 교육 비중의 증가와 함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술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차세대 교육방법과 교육콘텐츠 개발의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 주요업체 :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삼성전자, HTC, 레노버, 구글, 롤스로이스, BMW그룹, 록히드마틴, LG유플러스, KB금융그룹, KT, 웅진씽크빅

 

4. 가상현실에서 공간이동과 모션시뮬레이터 동향

    - 사이트 바로가기 : 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list.do?selectedId=1182

    - 자료 바로보기 : 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view.do?boardParam1=8145&boardParam2=8145

 

일반적으로 가상현실에서 실제 이동 가능한 공간의 크기는 센서기반의 트레킹 범위로 정해지므로 현실처럼 무한한 걷기 형태의 공간이동은 불가능하다. 이런 원인으로 그동안 다양한 VR 네비게이션 방법들이 연구되었으며 관련 시스템과 장비들이 개발되었다. 모션시뮬레이터는 시각과 몸 감각 협응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공간이동방법으로 가상현실을 보다 현실적으로 느끼게 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초창기 모션시뮬레이터들은 대부분 연구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경제성 및 공간 효율성 등 여러 제약으로 모션시뮬레이터의 상업적 확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모션시뮬레이터의 발전이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상업 및 개인용 모션시뮬레이터들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시각과 몸 감각의 일치는 자가운동을 높여 VR 사용자들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가상공간 이동 시 유발되는 사이버멀미 저감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본 고에서는 이런 배경들과 연결하여 VR 네비게이션과 연관된 주요 구성요소들(자가운동, 사이버멀미, 공간이동자유도)과 모션시뮬레이터들의 동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주요업체 : 없음

 

5. 보건의료 분야 가상증강현실 기술 동향

    - 사이트 바로가기 : 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list.do?selectedId=1181

    - 자료 바로보기 : 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view.do?boardParam1=8141&boardParam2=8141

 

가상증강현실 기술은 최근 5G 네트워크와 고품질 콘텐츠를 위한 소비자용 가상현실 장치가 상용화되면서 실험실에서의 연구 목적이 아닌 실생활에서도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가상증강현실은 의료, 군사, 관광,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보건의료 분야에서는 안정적이며 정확도가 높은 기술을 신중하게 선별하여 조심스럽게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가상증강현실 기술의 최신 동향과 의료분야에 적용되는 사례를 의료보조도구, 원격 협진, 의료교육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 주요업체 :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부직스(vuzix)

 

 

VR/AR 분야도 구글/마소/페북 이 선점하고 있네요. 빅텍크 기업의 사업확장 및 연구개발 능력은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위 자료들이 여러분들의 VR/AR분야 인사이트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이외에도 국내주식에서는 알체라(AI영상인식) , 자이언트 스텝 등등 있습니다. 

저는 적금식으로 매달 100 정도 사고있지만 향후에 더 큰 돈으로 벌어줄거라 믿어 의심치 않아요 ~! 

( 기도 매매중입니다. ) 

전세계적으로 사이클은 돈다. 

반도체 슈퍼사이클, 원자재 사이클, 최근에 옥수수,콩 , 원유 등등등. 

사이클만 잘잡는다면 돈벌기회는 생긴다. 

그중 원자재 관련 ETF 를 공부해보자. 

 

원자재란?

경제시장에서 대체불가능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일컬으며, 각 국가마다 증권거래소처럼 고유의 거래시장을 가지고 있어 투자를 할 수 있는 상품. 

 

원자재 종류

  • 에너지 : WTI 크루드오일(원유), 브렌트유(원유), 난방유, 가솔린, 천연가스, 에탄올, 석탄, 탄소배출권 등
  • 금속 : 금, 은, 구리, 납, 니켈, 백금, 아연, 알미늄, 주석, 팔라듐, 우라늄, 철광코일 등
  • 농산물 : 설탕, 커피, 코코아, 목재, 원면(솜), 오렌지주스, 팜유, 카르다몸 등
  • 육류 : 린호그(돼지고기), 생우, 육우, 우유
  • 곡물 : 쌀, 귀리, 소맥, 대두(콩), 대두유(콩기름), 옥수수, 현미, 카놀라 등

에너지

Marine Petroleum Trust Un(MARPS) : 석유

Independence Contract Drilling Inc(ICD) : 석유

 

MicroSectors U S Big Oil Index 3X Leveraged ETN : (NRGU) : 기름x3

ProShares Ultra Bloomberg Crude Oil ETF : (UCO) : 기름x2

 

금속

Lithium Americas Corp.(LAC) : 리튬 관련주

Freeport-McMoRan(FCX) : 구리 관련주

Southern Copper Corp(SCCO) : 구리 관련주

Polymet Mining Corp(PLM) : 구리 관련주

Comstock Resources Inc(CRK) : 금은 관련주

 

iShares MSCI Global Metals & Mining Producers ETF(PICK) : 금속, 알루미늄, 철강, 귀금속 및 광물 추출 및 생산 관련

Global X Copper Miners ETF(COPX) : 구리 관련 ETF -> 전깃줄에 많이 쓰임

Mp Materials Corp (MP) : 희토류

VanEck Vectors Steel ETF(SLX) : 철강 ETF

Global X Uranium ETF(URA) : 우라늄 ETF

Aberdeen Standard Physical Platinum Shares ETF(PPLT) : 백금 ETF -> 수소차 스택에 쓰임

GraniteShares Platinum Trust(PLTM) : 백금 ETF

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 (LIT) : 리튬 ETF

'금융 > 미국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8월 1일 ~ 5일 ETF 기록  (0) 2022.08.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