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ntKong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파이어족을 위해 코인을 하고 있지만 먹튀 가능성을 배제할수없기에!!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거래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 거래소들이 있지만, 각각의 특성, 거래 수수료, 보안 수준, 사용자 인터페이스, 고객 지원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다음은 몇 가지 널리 추천되는 코인선물거래소입니다:

1. Binance

  • 장점: 세계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로, 다양한 암호화폐를 지원합니다. 높은 유동성, 낮은 거래 수수료, 강력한 보안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 단점: 페이백 이벤트 일절없음

2. BitMEX

  • 장점: 높은 레버리지 거래를 제공하며, 선물 거래에 특화된 거래소입니다. 기술적 분석 도구가 풍부하며, 다양한 주문 유형을 지원합니다.
  • 단점: 규제 문제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Bybit

  • 장점: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빠른 거래 실행 속도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암호화폐와 함께 높은 레버리지 옵션을 제공합니다.
  • 단점: 상대적으로 신규 거래소이기 때문에, Binance나 BitMEX만큼의 유동성을 보장하지는 못할 수 있습니다.

4. FTX

  • 장점: 혁신적인 상품과 거래 옵션을 많이 제공하며, 유동성과 거래 속도가 우수합니다. 또한, OTC 거래도 지원합니다.
  • 단점: 미국 사용자는 FTX US를 통해서만 거래할 수 있으며, 일부 기능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5. Mexc

  • 장점: 다양한 신규 코인들과 레버리지 400배도 가능한 선물거래이며 가끔 페이벡 이벤트도 쏠쏠함
  • 단점: 사용자가 적다는 점과 400배로 눈돌아가기 쉬움.. 
 

오랜만에 비트코인 선물을 다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시황을 보다보니 트럼프의 한마디로 정말 요동치는 시장이었네요.. 

저는 현재 단기 반등이지만 숏 포지션으로 물량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조만간 수익으로 인증해 보이겠습니다. 

 


현재 위처럼 다이아고날 완성시 숏 진입, 본절로 손절치기 좋아보여서 공유 (단, 손절안하면 크게물릴수있음)

브로드컴(AVGO) 최신 시장 분석 요약

1. 기술적 분석

RSI(상대강도지수): 53.56 (중립적 위치)
볼린저 밴드

  • 상한선: 252.61 / 중간선: 228.00 / 하한선: 203.40
  • 하락후 횡보진행 하고 있음
    ATR(평균 진폭): 9.90 → 변동성 정상 수준 유지

2. 지지선 및 저항선

지지선: 196.23
저항선: 249.59

  • 현재 주가(233.04)가 저항선(249.59)에 근접
  • 돌파 시 추가 상승 가능, 저항받으면 조정 가능

3. 글로벌 뉴스 및 시장 심리

📉 BAD

  • 트럼프의 대중 관세 정책이 반도체 시장에 미치는 영향 우려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지속

📈 GOOD

  • 중국 위안화 안정 및 반도체 시장 성장 기대
  • 브로드컴의 AI 반도체 사업 확장

4. 실적 및 재무 분석


5.  향후 방향 및 예상

  • 미국 (트럼프) 자국 기업에 대한 혜택 지속 예정 및 반도체 시장 살리기
  • 높은 EPS 성장률 & 안정적인 캐시카우

리스크 요인

  • 최근 급등한 주가에 대한 고평가
  • 저항선(249.59) 돌파 실패 시 조정 가능

💡 결론

  • AVGO는 성장성이 크지만 현재 주가가 고평가될 가능성이 있음
  • 저항선 돌파 여부를 주시하면서 신중한 투자 필요

 

미국 트럼프 정권이 재집권하였고,  테슬라의 CEO "머스크"의 행보에 전세계적 경제가 요동치고 있다. 

또한, 하락의 지표?? 개미들이 모두 미국주식을 사면 돈을번다고 굳게 믿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금만 사면 될거같다?  내생각은 그렇지 않다. 

차라리 국내(배당)으로 포트폴리오를 수정하고, 사람들의 관심이 많이 떨어진 비트코인쪽으로 눈을 돌리는 방향이 좋아보인다. 

국내 배당 포트폴리오를 변경할겸, 정리한 표를 올려봅니다. 

 

 

포지션 진입근거

 

 

 




 

 

나는 비트가 31k를 뚫었을때부터 빅쇼트호소인이었는데 

 

21년 최고점에서부터 지속중인 하락채널 상단 터치 + 올해 초부터 만들어온 작은 상승채널 중단선이 만나기 때문임(로그차트)

+ 주봉 다이버 등등

 

 




 

그래서 상승추세가 꺾일거라는 가정하에 31k부터 오름숏 위주로 매매를 함

 

하락장에서의 비트는

하락->저항 확인하러 올라오는 반등(되돌림) -> 추가하락을 반복하고

상승장에서는

상승 -> 지지 확인하러 내려가는 눌림 -> 추가상승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음

 

 

고점에서 떨어질 땐 이렇게 하향추세선을 한번씩 리테스트해주고 떨어지는 모습을 자주 보임

 

 

↓↓↓↓↓↓↓↓↓↓↓↓↓

1.현재 차트

 

 



 

 

2.과거 차트 

 

 






 

 

 

 

 

 

 




일봉으로 보면 저 선을 돌파하긴 했지만

추세선 아래에서 일봉 마감 -> 다음날도 다다음날도 돌파 실패하고 윗꼬리만 남긴 채 내려간 모습을 볼 수 있음

 

 

 

 

 

 




추세선 리테스트때 많이 보이던 과거 캔들패턴과의 유사성도 확인되었기에 숏 계속 홀딩

 

 

 

 

 

 

 




 

비트가 40k 50k를 가려면 빨강 동그라미부분을 깨고 올라가야한다고 생각중이고

이번주 안에 올라가야하기에.. 저런식으로 폭등할 가능성은 좀 낮다고 보고 있음

 

 

26k 위에 안착해준다면 파란색 화살표 모양대로 갈 수도 있겠지만

지금상태로는 하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좀 더 높다고 생각함

 

 

 




 

 

이런식으로 간다면 단기 롱은 나올지도? 몰?루

 

 

 

개인 관점일 뿐이니 그냥 '이렇게 매매하는애도 있구나~' 하고 재미로만 봐주면 좋겠음

 

 

 

1. 알체라

네이버가 ‘챗GPT’ 대비 한국어를 6,500배 더 많이 학습한 초거대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를 8월24일 공개할 예정

주도주 AI + 1차 매수 유효구간이라 보여짐.

 

 

삼화네트웍스 매집 

 

퀀텀에너지연구소, LK-99 수정 논문 아카이브에 공개

'1차원 BR-BCS이론'으로 상온초전도 현상 설명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퀀텀에너지연구소 연구진이 LK-99의 초전도 현상 원리를 설명하는 내용을 담아 논문을 수정 발표했다. LK-99가 지금까지 가능성만 제기됐던 1차원 초전도체라는 게 골자다. 육각기둥 구조 안에 세로로 연결된 구리원자 사이에서 전기가 저항 없이 흐른다는 것.

이석배·김지훈·김현탁·임성연·안수민·오근호씨가 저자로 참여한 연구진은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세번째 수정 논문을 실으면서 LK-99에서 상온·상압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는 이론적 배경을 '1차원 BR-BCS이론'으로 설명했다. 이 이론은 극저온에서 일어나는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는 주류 초전도 이론인 'BCS이론'을 포괄하면서, 극저온이나 초고압이 필요 없는 조건에서 일어나는 초전도 현상도 설명한다는 게 연구진의 주장이다.

연구진은 LK-99가 초전도 임계온도 위에서는 오믹(Ohmic) 금속특성을, 그 아래에서는 상온 및 대기압 조건에서 초전도체의 특성인 마이스너 효과를 나타낸다고 밝혔다. LK-99의 초전도 임계온도는 126.85도(400K) 이상으로 제시했다.

연구진은 이 물질이 상온 초전도 가능성을 갖는 요인을 두가지로 분석했다. 첫째는 납, 구리, 인이 산소와 결합한 아파타이트(Apatite·육각기둥 모양으로 원자 배열이 반복된 형태) 구조의 납 자리에 구리가 들어가 절연체·금속 전이(insulator-metal transition)가 일어나면서 부피가 수축된다는 것. 두번째는 임계온도에서 초전도 응축이 발생해 구리·산소·구리를 연결하는 1차원 사슬 구조에 변형이 일어나면서 반발성 쿨롱 상호작용이 강화된다는 것이다. 쿨롱 상호작용은 전기적 성질을 띠는 두 물질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의 일종이다.

연구팀은 그러면서 상온에서 초전도 상전이가 일어나는 메커니즘으로 '1차원 BR-BCS이론'을 제시했다. BR-BCS는 논문 저자 중 한명인 김현탁 미국 윌리엄앤드메리대학 교수가 기존에 있던 BR이론과 BCS이론을 결합해 2021년 제시한 상온 초전도 이론이다. 아직 과학계의 주류 이론이 아닌 만큼 LK-99를 통해 다시 조명받고 검증받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논문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 김현탁 교수는 "LK-99의 납 아파타이트 구조는 외부 육각형과 내부 육각형으로 구성됐는데, 그중 내부 육각형은 삼각형 두개가 겹쳐진 구조"라면서 "이 삼각형의 일부 납 원자가 구리 원자로 치환되는데, 이 때 구리는 최외각에 한개의 홀을 갖는 금속이 된다"고 설명했다.

삼각형이 층층이 쌓인 가운데 삼각형을 구성하는 구리가 세로 축으로 연결된 1차원 금속이 만들어진다는 것. LK-99의 경우 임계온도 위에서는 금속이고 그 아래에서는 초전도체가 된다. 김 교수는 원자치환으로 인해 납 아파타이트 결정의 부피가 수축하면서 원자간의 거리가 좁혀지고, 그 결과 구리원자 사이에 터널전류가 발생하면서 초전도 현상이 일어난다고 해석했다. 연구진은 국제학술지 APL(Applied Physics Letters)에 제출한 논문도 학술지 측의 리뷰 리포트를 받은 후 수정해서 낼 예정이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819417?sid=105

라는 기사에 네이처는 반박기사를 냈고, 초전도체에 대한 이슈가 늘어나서 신성델타테크, 서남 등 급등하기 시작했다.

I) 정황적 근거 

사실 이석배 교수는 처음에 상전이조합물로 알았으나(황하구리 포함) 시간이 흐륵수록 특허의 이름이 각각 변화하고 있음.

2008년 상전이물질,이의 제조방법 및 상전 이물질을 이용한 모듈의 제조방법

2012년 다중상전이 물질을 이용한 고효율 열이동-분산 시스템

2021년 상온,상압 초전도 세라믹 화합물 및 그제조방법. 

2) 이후 결과 

네이처에서는 해당 논문에서 발표한 내용이 진실이 아닐것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금일 또 해당 내용에 대한 반박 기사가 나왔다.

/*  네이처에 대한 대응 */ 

조만간에 저널논문의 Review Report가 올텐데, 그 예상 답변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질문 1에 대해서, 네이처 기사는 초전도성을 보지 못한 연구자들의 경험을 적어서 모은것입니다. 귀담아듣지 마십시요. 우리논문은 초전도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질문 2에 대해서 같은 내용입니다. 아직 초전도 특성을 보지 못했다고 하지 않습니까. 더 노력해야 합니다.

연구자들이 너무 서두르고 있습니다. 조금만 지나보십시요.

예를들면, 저의 MIT (금속-절연체 전이) 연구를 검증하는데 약 2년 걸렸습니다. 그리고 박사과정 때 저널논문에 발표된 제조법에 따라 결정을 만드는데, 두사람이 매일 샘플 만들었는데도 성공하는 데도 1년 반이 걸렸습니다. 좀 더 지켜봐야 됩니다. 아직 한 달이 안되었습니다.

LK99속에 상온 초전도 상이 있습니다. 지금 초전도 문제로 너무 달아올라 있으니, 어느 정도 열기를 가라앉혀야 되므로 우리에게는 이런것들이 오히려 좋은 것입니다.

 

라는 것을 보았을떄, 혹시나 모를 기대감에 소소하게 금액을 배팅해보려고 한다. 

+ Recent posts